코로나 여파로 인해 경제가 많이 침체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주식시장마저 엄청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가가 최악의 상황으로 내려가는 상황에서 가격이 저렴하다고 무턱대고 주식을 사는 것은 많은 리스크를 감안할 것이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내용은 주식의 가치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있다.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시기이지만, 적어도 적정 수준의 가치를 가지고있는 회사 주식을 사는 법에 대해서 알아 볼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폐(상장 폐지)에 대한 내용도 꼭 확인해야 한다. 상폐가 되기 직전의 회사는 매수하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도 알아보지 않고 매수를 한다면 이는 투자가 아니라 투기이다. IT 시대에 살고있는 지금 회사의 회계정보는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조회 가능하다.
대부분 주식을 모르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실패하는 이유는 이런 간단한 항목도 확인하지 않고 주식 투자를 진행하기 때문이다. 쉬운 예로 5년 연속 영업이익이 적자이면 상폐조건에 해당하고 이런 주는 구매하면 안 된다.
책 명: 재무제표를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 마라
저자: 사경인 지음
이 책은 주식 초보자에게 정말 단비 같은 책이다. 회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해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회사를 찾는 방법을 알려준다.
1부 정리
첫 장에서는 주식투자의 핵심을 기본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해준다.
기본적인 용어는 나에겐 어려운 단어이거나 애매하게 알고 있는 개념이므로 해당
문서에 모두 첨부하여 공부할 예정이다.
- 자산, 자본, 부채
자산 = 부채 + 자본
이것은 용어에 대한 정의이다. 예를들어 내가10억짜리 집을 사려고 8억을 대출하고 2억으로 10억짜리 집을 샀다면 자산은 10억, 부채는 8억, 자본은 2억이다.
기본적인 개념과 용어이므로 꼭 알아야 할 용어들을 숙지하도록 하자.
Point
- 회사의 이전 4~5년간 재무제표를 분석해 회사의 강건성을 확인하고 주식을 투자해야 한다.
1. 유동비율 확인
유동비율은 유동 자산/ 유동 부채이다.당장 현금화가 되는 자산
- 유동비율이 100% 이상 되어야 한해 해당 회사의 강건성이 입증된다.
- 회사가 자본잠식(자본이 - 상태이고 부채가 자산 이상인 경우) 상태가 계속되는대도 상장폐지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본 회사는 자본금을 주주로부터 해결한다. 우선주를 계속 발급해 자본을 충당하고, 미디어를 사용해 이슈화한다. 대표를 바꾸어 대표가 바뀌어서 잘 진행될 거라는 희망을 주어 주주를 달랜다.
· 자본 잠식 문제를 우선주 배당으로 해결
· 대표를 자주 바꿈(사업보고서'1. 회사의 개요 -> 2. 회사의 연혁'에서 확인 가능)
첨부 1
해당 내용을 표로 잘 보여주어서 이해가 잘되는 부분이 많았다.
- 전자 공시 보는 방법
전자 공시 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호프집에서 자주 보던가 여기서 나올 줄이야.직장인으로서는 매우 흥미로운 사이트가 아닌가 싶다 자신이 다니는 회사가 상장을 하던 하지 않던 사원수 50명 이상의 직장에서는 DART에 감사 보고서 및 사업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당장 다니는 회사를 검색하고 싶지만 본 책에서 나오는 예제를 따라 삼성 회사의 재무제표를 확인하기로 한다.
책의 이미지 그대로 웹사이트가 변경된 점이 없어서 놀랐다 지금의 웹 페이지 상태가 최적 상태이거나 웹 프로그래머가 일을 안 하거나 둘 중 하나로 보인다.
DART 주소: http://dart.fss.or.kr/
참조 2
감사 보고서 선택
참조 3
사업 보고서 선택
참조 4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삼성전자의 모든 사업보고서와 감사 보고서가 나타난다
참조 5
가장 최근의 사업보고서를 클릭해보자.
하기 참조6과 같이 사업보고서가 친절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참조 6
자 우리가 배운 것을 확인해 보자.
자산 = 부채 + 자본
198,241,360 = 46,671,585 + 151,569,775
딱 떨어진다. 맞다 이거.
참조 7
유동 비율 = 유동 자산/ 유동 부채
1141.47 % = 582,257 / 51,009 *100
유동비율이 100%가 넘는 회사에 투자하라고 한다. 1100%를 넘는 수치를 보니.. 돈이 있으면 삼성전자 주식을 사야 할 것 같은 마음이 솟구친다… 물론 저자는 적어도 4~5년 더 많으면 좋겠지만 나머지 유동비율도 확인하고 투자하는 것을 추천했다.
참조 8
당기 순이익
수익(팔아서 받은 총매출)매출원가 + 매출 총 이익
당기 순이익(진짜 내 주머니로 들어온 돈) = 수익 - 매출원가 - 기타 비용 - 금융 비용 - 법인세 - 기타금액
삼성전자는 제48기부터 꾸준히 당기 순이익이 증가하고 있다.
참조 9
삼성전자 주가 현황(2020.03.22 기준)
추가로 상장 폐지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상장 폐지는 먼저 관리 종목으로 편입 -> 퇴출로 진행되기 때문에 보통 상폐되는 회사들은 관리 종목으로 편입되는 순간 거의 모든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기 시작하므로 관리 종목 조건만 확인해도 퇴출은 어느 정도 확인되는 셈이다.
2020.03.22 업데이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