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에서 서버를 사용하다보면 백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aws의 서비스 장점을 적극 활용해보자. virtual machine 처럼 snapshot이 가능하다.
snapshot이라는 용어가 어색하다면 'snap':일시적인 'shot' 촬영 이라는 뜻으로 가상환경의 서버나 OS를 일정 순간의 형상을 그대로 저장해두는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ex>롤(LoL)에서 에코 궁국기, 백업 기능이라고 봐도 좋다.)
따라서 스냅샷을 생성(찍고)하고 스냅샷을 적용(되돌리)는 순으로 따라해 보자.
- 스냅샷 생성
- 스냅샷 적용
- 에러 발생 경우
<스냅샷 생성>
1. 스냅샷 탭에서 스냅샷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인스턴스는 이미 만들었다고 가정한다.)

2. 볼륨 입력창을 클릭하면 현 인스턴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볼륨 리스트가 나타난다. 스냅샷을 찍을 볼륨 선택하고 설명이나 암호화, 태그를 추가하고싶으면 하고 '스냅샷 생성'을 클릭한다.

3. 현 생성 시점으로 스냅샷생성이 완료됐다.
<스냅샷 적용>
1. 먼저 적용할 인스턴스를 중지한다. (달리는 자전거에서 바퀴를 바꿀순 없다.)

2. 위에서 생성된 스냅샷('스냅샷' 탭에 있음)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볼륨 생성' 이 활성화 된다.

3. 이미 생성된 인스턴스에 맞는 값을 입력해준다.
볼륨유형: 범용 SSD(gp2)
크기(GIB): 8G (프리티어기준 8G 인걸로 알고있으나 확인 필요!)
가용 영역: ap-northesast-2c

가용영역이 생성된 인스턴스위 영역과 동일해야한다.(ap-northesast-2c)
3.1 인스턴스에서 가용영역 확인 방법
가용 영역은 인스턴스 탭에서 확인 가능하다(하기 이미지 참고)

'볼륨 생성'을 클릭.
4. 볼륨생성 후 좌측 볼륨 탭을 누르면 볼륨이 생성된 것을 알 수있다. (초기 상태는 vailable)

이제 인스턴스에 볼륨을 연결시켜주면 된다.
5. 기존의 볼륨은 정지하고 스냅샷으로 새로 생성한 볼륨을 연결해보자. (상태가 in-use로 변경됨)


1) 인스턴스 연결
입력창을 클릭하면 생성되어있는 인스턴스 값이 나온다.
연결할 인스턴스 클릭
2) 디바이스
볼륨이 실행될 주소를 입력해 주어야한다. 디바이스마다 다르지만 기본 설정으로 EC2를 생성했다면 /dev/sda1을 입력해 주면된다.
에러창 없이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면 성공한 것이다.
6. 이제 정지시켰던 인스턴스를 시작하자.

이제 ssh나 putty등을 이용해 접속하면 지정된 스냅샷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끝. 혹시 에러가 발생한다면 댓글을 남겨주길 바란다.
<에러 발생 경우>
- Instance does not have a volume attached at root (/dev/sda1)
::디바이스 주소를 잘못 설정하면 나타나는 에러이다.
해결 방법
에러 해결방법
'programm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setting (0) | 2021.04.19 |
---|---|
AWS EC2 볼륨 증가 시키는 방법 (0) | 2020.11.13 |
venv로 Jupyter에서 Python 3.x버전업 작업 (0) | 2020.09.01 |
AWS 청구요금 확인 방법 (0) | 2020.08.26 |
EC2 에서 Jupyter 사용시 Syntax Error (0) | 2020.08.26 |